-
이제 앞으로 주거래 은행이 사라질 것 같은데요. 우리가 은행 업무를 보면서 계좌이체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주거래 은행을 지정해서 사용하고 있는데요. 보통 급여이체, 공과금 납부 등 여러 은행 업무를 한 은행에서 몰아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으로는 다른 은행의 오프라인 영업점 창구에서도 오픈뱅킹이 가능해집니다. 따라서 인터넷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은행 지점도 이런 오픈뱅킹 서비스가 적용될 것이라는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1. 오픈뱅킹의 시대
저도 역시 주거래 은행 한 곳을 지정해 두고 모든 업무를 주거래 은행을 통해서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이제 앞으로 주거래 은행이 필요 없게 될 것 같습니다.
정부는 2019년 12월 18일부터 오픈뱅킹 서비스 전면 시행하였는데요. 오픈뱅킹을 통해 모든 은행의 자금이체, 조회 기능을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 은행 계좌를 보유한 소비자는 스마트폰에 은행별로 앱을 설치할 필요 없이 오픈뱅킹을 이용해 은행 또는 금융기업의 앱 하나에 자신의 모든 은행 계좌를 등록해 송금, 이체, 조회 업무를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오픈뱅킹에 대해서 모르는 분들이 많고 주거래 은행 계좌만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으며 인터넷뱅킹에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이런 서비스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인터넷뱅킹에 익숙치 않은 경우 오프라인상에서는 주거래 은행이 없으면 은행 업무를 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집 근처 주거래 은행이 없다면 일부러 먼 곳에 있는 은행을 찾아가서 은행 업무를 보고 있습니다.2. 은행 영업점도 오픈뱅킹 시행
위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앞으로는 은행 영업점에서도 대면으로 오픈뱅킹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고령층 등 디지털취약계층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 은행 영업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예를 들어 국민은행을 주거래 은행으로 이용하고 있는 사람이 집 근처에 국민은행이 없다면 집에서 가까운 신한은행을 방문해서 기존에 이용해 온 모든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국민은행 고객이 신한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국민은행 계좌의 잔액조회, 거래내역조회, 계좌실명조회, 송금인정보조회, 수취조회, 출금이체, 입금 이체 등의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신한은행 영업점에서 국민은행 계좌에 있는 돈을 제 3은행인 우리은행 계좌로 이체하는 것도 가능해집니다.
3. 은행 영업점 오픈뱅킹 서비스 이유
해당 오픈뱅킹 서비스는 은행들이 ATM 기기와 영업점을 줄여 나가고 있다는 점을 감안한 문제 의식인 듯 보여지는데요.
지난해 현금인출기 ATM 이용이 줄어들면서 주요 은행 ATM 운영업체들이 ATM 기기를 한 달에 100개 이상 줄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우리나라 6대 은행의 감소폭을 살펴보면 국민은행은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100개나 줄였고요. 신한은행도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153개를 줄였습니다.
또한, 우리은행도 2023년에는 2022년 대비 157개의 ATM 기기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민은행 영업점은 2019년 말 6,709 곳에서 2020년 말 5,800 곳으로 꾸준히 감수하는 추세로 나타났습니다.
고객 거주지 혹은 직장 근처에 주거래 은행 영업점이 없어서 겪는 불편한 은행 업무를 오픈뱅킹을 통해 개선함으로써 모바일뱅킹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의 편의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가 됩니다.
이렇게 오픈뱅킹이 오프라인 영업점에도 적용되면 자행, 타행 개념이 사라지고 정보제공동의서 1장만 작성하면 자금 이체는 물론 송금, 예적금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될 듯 보여집니다.금융 당국은 이번에 발표한 방안을 올해 안에 시범 운영할 계획이며 이르면 연말부터 오픈뱅킹 오프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