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랙아이스 티맵 알림, 빙판길 엔진브레이크 사용법 알아보기

    2024. 1. 29.

    by. 신박맨

     

    이번 글은 겨울에 운전할 때 꼭 필요한 기능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특히 눈이 오거나 비가 온 뒤 도로 위에 만들어지는 블랙아이스 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많은 운전자분들이 전혀 모르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 하나면 사고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겨울에만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에 꼭 이 옵션을 설정하셔서 안전운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 블랙아이스 방지, 티맵 알림 사용하기

    그럼 겨울철에 반드시 필요한 기능 두 가지에 대해서 말씀드려 볼게요 우선 첫 번째는 겨울 빙판 구간을 알려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눈이 오거나 비가 오고 난 뒤 위험한 구간들이 있습니다.

     

    추운 겨울 다리 위, 터널 출입구, 그늘진 도로 음지 등이나 그늘지고 온도가 낮은 곳에 주로 블랙아이스가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런 구간들에서는 고질적으로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블랙아이스는 겨울철 기온이 갑작스럽게 내려갈 경우 녹았던 눈이 다시 얇은 빙판으로 얼어붙는 현상을 말합니다.

     

    얇은 얼음막이 도로를 덮으면 검은색의 아스팔트가 투명하게 보여서 블랙아이스라고 하며 평소 도로보다 약 14배, 눈길보다 약 6배 이상 미끄러워 겨울철 교통사고의 주 원인이 됩니다.

     

    블랙아이스가 눈으로 확인되는 경우도 있지만 잘 식별되지 않다 보니 차선 변경, 브레이크 또는 속도 그대로 주행하면서 차가 돌아가거나 미끄러지면서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5년 동안 도로 위 블랙아이스 사고로 7명이 사망하고 7,700명 이상이 부상당한 것으로 집계되었는데요. 그만큼 사고의 위험성이 크고 블랙아이스로 인한 사망률이 높다는 것은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간단한 옵션 하나만 켜주면 어디가 빙판길인지 금방 알 수 있는데요. 네비게이션으로 티맵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티맵의 경우 우측 아래 전체 탭을 선택하시고 우측 상단 톱니바퀴 모양을 선택해 줍니다.

     

    그 다음으로 음성 안내 항목을 선택하시고 아래로 내려 '주의 구간'을 선택합니다. 주의 구간을 선택하시면 교통약자 보호구역이나 급커브 구간 등 여러 주의 구간이 있는데요. 이곳에서 아래 '결빙 위험 구간' 항목을 활성화해 주시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결빙 위험 구간 항목은 꺼져 있을텐데요. 이 기능은 음성으로 결빙 구간을 안내해주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서 운전하게 됩니다.

     

    설마 위와 같이 결빙 구간이라는 안내를 듣고도 시원하게 미끄러져 봐야겠다고 생각하고 속도를 올리거나 갑자기 급정거해보는 경우는 없을 듯합니다.

     

    결빙 위험 구간 알림 기능은 겨울에만 안내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활성화해 두시면 굳이 내가 끄지 않아도 겨울이 지나면 자동으로 꺼지게 됩니다.

     

    2. 빙판길 운전, 엔진브레이크 풋브레이크

    두 번째, 겨울 빙판길이나 내리막 구간에서 무조건 브레이크를 밟는 것보다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요. 엔진브레이크 사용법을 모르시는 분들은 생각보다 많습니다.

     

    브레이크는 발로 밟는 풋브레이크와 주차할 때 사용하는 파킹브레이크 두 개만 있는 줄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때문에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조차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엔진브레이크는 풋브레이크처럼 자동차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속도를 늦추는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특히 빙판길이나 내리막 구간에서 풋브레이크 사용으로 바퀴가 완전히 멈추면 차가 계속 미끄러지거나 회전하는 스핀 현상이 발생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행하는 속도보다 기어 변속을 낮게 하는 엔진브레이크 사용이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계속된 산길을 풋브레이크만으로 계속 밟으면서 내려가게 되면 브레이크에 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브레이크도 같이 사용하면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엔진브레이크 사용 방법은 정말 간단합니다. 기어 변속을 수동으로 바꿔주시면 되는데요. 기어를 보면 D단 옆에 +(플러스)와 -(마이너스) 표시가 있습니다.

     

    기어봉을 -(마이너스) 표시 쪽으로 옮겨주시면 기어 조작을 수동으로 변속할 수 있는데요. 기어를 -(마이너스) 방향으로 내려주시면 되는데요. 이렇게 4단에서 3단으로 이어 2단으로 이렇게 수동 기어를 1단까지 변속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동 기어를 1단까지 내려서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엔진브레이크는 멈추는 기능이 아니라 차량의 속도를 안전하게 낮추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빙판길이나 내리막 주행 시 엔진브레이크와 풋브레이크를 같이 사용하면 더욱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핸들에 패들시프트가 있는 차량은 패들시프트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겨울철 반드시 알고 있어야 되는 기능 두 가지에 대해서 말씀드렸는데요.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 겨울철 운전 시 앞차에 바짝 붙지말고 꼭 안전거리 유지해서 본인뿐만 아니라 타인의 목숨까지 안전하게 지켜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함께 읽으면 도움되는 포스팅입니다.